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

옥수수를 괴롭히는 열대거세미나방 방제 방법 1. 열대거세미나방 열대거세미나방은 아메리카 대륙의 열대와 아열대 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하던 곤충으로, 밤나방과이다. 현재 아프리카, 동남아, 중국, 한국 등으로 확산되어 작물을 괴롭히고 있다. 올해는 4월 18일 제주에서 성충이 발견된 것을 시작으로, 전북 부안에서 5월 19일에 발견되는 등 성충과 유충이 한국 내에서도 자주 목격되고 있다. 열대거세미나방은 충남, 전북, 전남, 경남, 제주 등에서 관찰되고 있으며, 유충(애벌레)가 식물의 잎과 줄기를 갉아 먹어 피해를 발생시키고 있다. 특히, 옥수수, 수수 등의 작물에서 피해가 커지고 있어 각별히 주의가 필요하다. 2. 열대거세미나방 방제 방법 열대거세미나방을 방제하는 방법은 살충제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농약안전정보시스템에 따르면, 1,387건의 살충.. 더보기
흰점박이꽃무지, 느타리 배지로 160만원 추가 수익 얻는 방법 1. 흰점박이꽃무지란? 흰점박이꽃무지는 작은 풍뎅이에 속하는 곤충입니다. 체색은 구릿빛 검은색에 광택이 있고, 몸 길이는 17~22mm정도 된다고 합니다. 예로부터 동의보감에서 좋은 한약재로 취급하고 있으며, 생으로 먹거나 굽거나 볶아먹거나 혹은 환으로 만들어서 먹는 등 다양한 형태로 먹을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애완동물로 기르는 사람들도 많아 쓰임새가 많은 곤충 중에 하나입니다. 그렇다면, 흰점박이꽃무지를 어떻게 키우면 좋을까요? 2. 흰점박이꽃무지 사육방법 흰점박이꽃무지 사육방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농사로를 통해서 확인해보실 수 있습니다. http://www.nongsaro.go.kr/portal/ps/psb/psbo/vodPlay.ps?menuId=PS00069&mvpClipNo=&mvpNo=12.. 더보기
심혈관 질환에 좋은 식품과 "흑찬" 소개 1. 현대인의 건강을 위협하는 심혈관질환 최근, 심혈관 질환으로 병원을 찾는 사람들이 해마다 늘어나고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인지 최근 심혈관 질환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예방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심혈관 질환의 대표적으로 심장병, 뇌졸증, 고혈압, 당뇨병이 있는데, 이런 질환들은 올바른 식습관을 갖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렇다면, 어떤 식단이 심혈관 질환을 예방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까요? 오늘은 심혈관 질환에 좋은 식품을 알아보도록 합시다! 2. 심혈관 질환에 도움이 되는 식품 대한민국 정책브리핑에서 추천하는 심혈관 질환에 도움이 되는 음식이 있습니다. 바로, 호두, 사과, 검정콩, 단호박, 배, 고구마입니다. 호두는 불포화 지방산과 플라보노이드, 항산화제가 풍부하여, 고지혈증, 고혈압.. 더보기
눈 건강에 좋은 채소와 당근 재배 방법 1. 뉸이 좋지 않는 현대인 요즘 현대인들, 핸드폰을 놓치 못하고 항상 가까이 두는게 습관입니다. 저도 마찬가지고요 하하하,, 그래서 최근 눈 건강이 좋지 않아, 항상 고민하게 됩니다. 그래서 오늘은 눈 건강에 좋은 채소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하나 하나 알아보고자 합니다! 2. 눈 건강에 좋은 채소 먼저, 눈 건강에 좋은 채소를 알기 위해서는 눈 건강에 필요한 영양소를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인하대병원의 건강정보에 따르면, 비타민 A와 C, 오메가 3 지방산이 풍부한 음식을 섭취해 주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비타민 A는 누구자 잘 아는 당근을 추천드리며, 비타민 C는 블루베리, 빌베리, 라즈베리, 아로니아, 딸기 등의 베리류가 비타민 C를 많이 함유하고 있다고 합니다. 오메가 3가 풍부한 등푸른 생선류도.. 더보기
고추 탄저병 예방하는 방법과 방제방법 1. 탄저병이란? 고추에 많은 피해를 주는 탄저병은 곰팡이균에 의하여 발생합니다. 특히, 덥고 습한 날씨가 탄저병의 피해를 키우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탄저병에 걸리면, 열매에 어두운 초록색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점이 생기는 모습을 보이곤 합니다. 그러나 심해지면 열매 반점이 검게 썩어들어 갑니다. 또한 탄저병은 월동하여 다음 해에도 전염이 되는 만큼 감염성이 큰 고추의 질병 중 하나입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탄저병을 예방하는 것이 좋을까요? 2. 고추 탄저병 예방 방법 먼저, 예방하는 방법으로는 탄저병에 저항성이 높은 품종을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탄저병에 강한 고추의 품종으로는 다강한, 칼라강탄, 칼라패스 등의 품종들도 존재하며, 최근에는 칼탄프리, 칼탄맥스 등의 품종들도 존재합니다. 품종 외에도.. 더보기
이모작 작부체계 5가지 추천해드립니다! 1. 이모작이란? 이모작이란, 1년간 한 농지에 2가지 다른 작물을 재배하는 방법을 이모작이라고 합니다. 이모작을 하는 이유는 단연 농가소득에 큰 기여를 한다는 장점도 존재하지만, 벼와 이모작을 함께한다면 키우기도 쉽다는 장점이 크게 작용합니다. 다만, 장점 이외에도 단점도 몇가지 존재하는데, 벼의 경우 수확시기가 늦춰진다거나, 콩과 함께 경작할 경우, 콩은 꼬투리가 습해에 의해서 터지는 현상이 발생하는 등의 단점도 존재하곤 합니다. 그렇지만, 단점을 다 제외하고라도 장점이 큰 이모작, 그렇다면 어떤 방법으로 이모작을 하는 것이 좋을지 한 번 살펴봅시다! 2. 추천하는 이모작 재배체계 5가지 이모작 방법 중 논을 이용한 이모작에 대한 연구가 최근 많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그 중 대표적인 몇가지를 소개하고.. 더보기
작두콩 재배요령과 병해충 방제 방법 1. 작두콩이란? 작두콩은 콩과 한해살이 덩굴풀로, 작두의 날 같은 생김새를 가졌다고 하여, 작두콩이라고 불리고 있습니다. 해외에서는 상업적으로 재배되지 않지만, 인도 중남부 내륙에서는 채소로 이용된다고도 합니다. 그렇지만, 대한민국에서는 작두콩이 다량의 단백질, 칼륨, 식이섬유를 포함하고 있어 인기가 많다고 합니다. 또한, 작두콩을 차로 만들어 활용하면 알레르기 개선, 항암 효과, 비염 증상 개선, 체내 온도 유지, 변비예방, 눈 건강에 도움이 된다고 하니, 작두콩의 인기는 앞으로도 계속될 전망입니다. 그렇다면, 작두콩은 어떻게 재배하는 것이 현명할까요? 2. 작두콩 재배 방법 작두콩은 한발에 강하고, 내염성과 내습성이 높습니다. 또한 고온을 좋아하고 25℃ 전후의 기온이 적합합니다. 뿐만 아니라, 광.. 더보기
농업과학기술대상, 이모작을 활용한 밀 자급률 향상 기술 1. 서론 농촌진흥청에서 선정한 농업기술대상 중 오늘은 밀 자급률을 높이기 위해 노력한 김경훈(연구사)와 귄미라(교수)를 소개하고자 한다. 대한민국에서 밀을 생산하는 농가는 2020년부터 크게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재배면적이 크게 5,244ha에서 2022년 8,259ha로 2년 사이 약 1.6배 커졌다. 이와 더불어 정부에서도 밀에 대한 장비,건조, 저장시설과 전문생산단지를 조성하는 등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구분 2020 2021 2022 밀 재배면적 5,244ha 6,224ha 8,259ha 밀 생산량 16,985톤 26,324톤 33,000톤 밀 자급률 0.8% 1.1% 1.4% 출처, 농림축산식품부, 2023. 2. 밀 자급률 향상 대한민국 정부가 밀에 ..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