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농업신기술

1년생 땅두릅으로 주당 80g 수확하는 방법 공개!

1년생 땅두릅으로 주당 80g 수확하는 방법 공개!

 

1. 배경

 

오늘 여러분께 소개할 농업신기술은 "촉성재배용 땅두릅 1년생 적정 종근 소질"입니다.

땅두릅은 한국과 일본에서 분포하고 있으며, 약용식물로 재배되고 있습니다.

현재 땅뚜릅에 대한 동계 촉성재배 사업화가 추진되면서 강원도에서 재배면적이 증가하고 있어 강원도농업기술원에서는 1년생 종근의 적정 소질을 알아보고자, 연구하게 되었습니다.

 

그림1. 두릅 사진

 

 

2. 땅두릅 근중과 근경 중 어떤 것이 더 중요할까?

 

동계 촉성재배를 위한 땅두릅의 적정 종근을 살펴보기 위해, 강원도 농업기술원에서는 근중(뿌리 무게)과 근경(뿌리 줄기)을 달리하여 서로 비교하였습니다.

먼저, 종근마다 땅두릅에 어떤 특성들이 변하는지 살펴보면, 종근이 무거울수록 주당 수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종근이 500g이상일 경우, 주당 수량이 가장 크게 나타났고, 종근이 가장 가벼운 SS의 경우, 주당 16.4g으로 매우 적게 나타났습니다.

 

<땅두릅 근중별 특성>

규격 맹아
출현일
첫 수확일 수확
종료일
수확기간 주당 수량
(g/주)
L
(500g이상)
12.16 12.23 2.8 48 79.7
M
(500~300g)
12.18 12.23 2.10. 50 63.4
S
(300~150g)
12.18 12.23 2.10. 50 43.7
SS
(150g미만)
12.19 12.23 2.8. 48 16.4
출처, 서현택, 2022, 촉성재배용 땅두릅 1년생 적정 종근 소질, 강원도 농업기술원.

 

그림2. 두릅 사진

 

다음은 근경 마다 규격을 달리했을 때, 어떤 특징이 있는지 살펴보았습니다.

근경도 근중과 마찬가지로, 규격이 클수록 주당 수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L과 SS의 차는 약 34g 차이로, 큰 차이를 보였습니다.

다만, 근경과 근중 둘을 비교해보면, 근경보다는 근중이 주당 수량이 더 높았고, 특히 근중이 무거울수록 수량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만큼 근중에 더 신경쓸 필요가 있다고 보여집니다.

 

<땅두릅 근경별 특성>

규격 맹아
출현일
첫 수확일 수확
종료일
수확기간 주당 수량
(g/주)
L
(50mm이상)
12.21 12.27 2.19 55 39.0
M
(50~40mm)
12.23 12.29 2.22 56 34.5
S
(40~30mm)
12.23 12.29 2.22 56 26.1
SS
(30mm미만)
12.24 12.30 2.22 55 5.5
출처, 서현택, 2022, 촉성재배용 땅두릅 1년생 적정 종근 소질, 강원도 농업기술원.

 

 

 

3. 결론

 

동계 촉성재배를 위해서 땅두릅 종근으로 어떤 것을 선택할지 고민하신다면, 우선 2년생을 가장 추천드리지만, 1년생 중에서도 종근의 무게가 500g 이상되는 종근을 이용하신다면 주당 80g 정도의 수량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단, 땅두릅의 재식밀도는 2,500주/10a이며, 조간 100cm X 주간 40cm임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그림3. 두릅 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