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농업신기술

시설과채류 후작물, 이고들빼기 수확량 높이는 방법!

시설과채류 후작물, 이고들빼기 수확량 높이는 방법!

 

1. 배경

 

오늘 여러분께 소개할 농업신기술은 "시설수박 후작 이고들빼기 입모율 향상을 위한 적정 차광방법"입니다.

수박을 포함해 시설과채류의 후작물로 가능성이 가장 높은 이고들빼기는 국화과에 속하는 식물로, 미세종자 상태에서 발아를 한다면, 입모율이 매우 낮아 재배에 어려움이 있다고 합니다.

따라서, 기계파종을 하는 이고들빼기의 입모율을 높이기 위해, 차광을 달리하여, 입모율을 높이는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그림1. 고들빼기 사진

 

 

2. 이고들빼기 적정 차광

 

이고들빼기에게 가장 맞는 차광율은 몇%인지 살펴보기 위해, 강원도농업기술원에서는 차광망을 달리하여, 차광율과 입모율을 비교하였습니다.

연구의 앞서, 이고들빼기의 파종일은 8월 13일이며, 수확일은 11월 4일로 하였습니다.

연구 결과, 95% 흑색 차광망을 사용할 경우, 차광율이 가장 높았고, 입모율도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따라서, 95% 흑색 차광망을 시설하우스에 설치하셨다가, 발아가 완료되는 10일 이후에는 차광망을 거둬, 도장과 잘록병을 예방하는 것이 필수라고 강원도 농업기술원에서는 추천드리고 있습니다.

 

<수박 후작 이고들빼기 차광방법별 입모율 및 병발생도 비교>

차광재 차광율(%) 입모율(%)
95% 흑색 차광망 78 74.4
85% 백색 차광망 60 55.8
70% 백색 차광망 47 27.1
50% 백색 차광망 40 26.7
출처, 서현택, 2022, 시설수박 후작 이고들빼기 입모율 향상을 위한 적정 차광방법, 강원도농업기술원.

그림2, 고들빼기 사진

 

 

3. 차광율에 따른 경제성

 

차광율에 따라서, 입모율이 달라진다는 것을 알았으니, 그렇다면 수확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더 자세히 살펴봅시다!

위의 연구 그대로, 입모율이 달라진 이고들빼기의 수확량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상품율이 가장 높았던 것은 50% 백색 차광망을 이용할 때였지만, 총수량이 매우 낮게 나타났습니다.

즉, 상품율은 차광율이 낮을수록 높아지지만, 입모되지 못하면 수확량이 낮아, 전체적인 상품수량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수박 후작 이고들빼기 차광방법별 수량특성>

차광재 총수량
(kg/10a)
상품수량
(kg/10a)
비상품수량
(kg/10a)
상품율
(%)
95% 흑색 차광망 722.9 369.9 353.0 51.2
85% 백색 차광망 524.6 308.2 216.4 58.7
70% 백색 차광망 191.9 139.1 52.9 72.5
50% 백색 차광망 163.4 135.4 28.0 82.9
출처, 서현택, 2022, 시설수박 후작 이고들빼기 입모율 향상을 위한 적정 차광방법, 강원도농업기술원.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수박을 이용하였는데, 수박 이외에도 시설과채류 다음에 이고들빼기를 후작물로 선택하신다면, 차광율이 좋은 95% 흑색 차광망을 사용하셔서, 입모율을 높이시고, 발아가 완료되면 차광망을 거두셔서, 안전한 수확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