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런 분들께 추천드립니다.
- 영농형 태양광에 관심이 많은 농업인
- 영농형 태양광을 운영하는 농업인
- 태양광에 심을 작물을 고민 중인 농업인 등
새로운 영농기술이 궁금하시다면 끝까지 봐주세요!
2. 영농형 태양광
영농형 태양광이란 위에는 태양광을 설치하고, 태양광 아래는 농작물을 재배하는 형태의 태양광 사업으로, 일종의 융합 사업에 속합니다.
현재 정부에서는 그린 뉴딜정책의 일환으로, 에너지 부분에서 친환경, 저탄소 경제 전환을 기대하며, 2030년까지 전체 전력량의 20%를 태양광, 풍력 등 청정에너지로 공급할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정부정책에 힘 입어, 지속적으로 유치해나갈 영농형 태양광에 어떤 작물을 심으면 좋을지 한 번 살펴봅시다!
3. 영농형 태양광과 작물
우선, 영농형 태양광의 작물을 알아보기 이전에, 영농형 태양광을 설치할 경우, 토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대체로, 영농형 태양광으로 사용 되는 유형은 유틸리티급 400kw급 영농형 태양광으로, 구조물면적은 5,400㎡, 모듈크기는 2,024mm×1,024mm×40mm, 모듈출력은 400W(6×12=72cell), 모듈각도는 45◦에 2.5m 간격으로 차광율은 32.0, 25.6, 21.3% 수준입니다.
이러한 제약조건이 있기 때문에 재배 품목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데, 한국태양광발전학회에 따르면, 벼, 인삼, 감자, 배추, 무, 마늘, 양파 등의 작물들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습니다.
그 중에서 오늘은 전라남도농업기술원의 건백깨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합시다.
4. 건백깨
전라남도농업기술원은 영농형 태양광의 차광율에 따라서 건백깨의 수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습니다.
앞서, 영농형 태양광의 차광율이 32%, 25%, 21%일 때, 가장 수량이 좋았던 유형은 다음과 같습니다.
즉, 32%의 차광율일 경우에는 10a당 45kg으로 수확률이 저조하지만, 차광율이 줄어들수록, 10a당 수량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고, 태양광을 설치할 경우, 21.3%의 차광율일 때 10a당 89kg으로 가장 수확량이 많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처리별 | 재식밀도(cm) | 주당삭수(개) | 천립중(g) | 리터중(g) | 수량(kg/10a) | 지수 |
32.0% | 60x20 | 52 | 3.23 | 675 | 45 | 47 |
25.6% | 60x20 | 95 | 3.47 | 688 | 83 | 86 |
21.3% | 60x20 | 84 | 3.58 | 698 | 89 | 92 |
노지 | 60x20 | 93 | 3,33 | 697 | 96 | 100 |
출처 : 윤창용 외, 2021, 태양전지모듈 하부경지 적응 참깨 적정 차광율과 재식거리 설정, 전라남도농업기술원. |
따라서, 이를 유념하셔서, 다음 영농계획에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농업신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년 벼농사 품종 고민이라면, 참고하세요! (0) | 2022.01.18 |
---|---|
드문모심기, 질소시비법 알려드립니다! (0) | 2022.01.18 |
키위, 냉해 피해 온도와 해결방안 (0) | 2021.11.25 |
논 대체작물, 나물콩 재배방법 (2) | 2021.11.06 |
작은 수박에 "참박" 대목으로, 추가소득 향상 (0) | 2021.1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