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농업신기술

고구마 피복재배시, 10a당 3,305kg 수확하는 방법! 1. 배경 오늘 여러분께 소개할 농업정보는 "고구마 피복재배를 위한 시비량 개선"입니다. 경상남도농업기술원에 따르면, 고구마의 재배면적은 점차 늘어나는 추세이라고 합니다. 그러나, 늘어나는 재배면적에 비해서 면적당 수량이 적어, 이를 해결할 방법을 연구하고자 하였고, 원인을 살펴보게 되었습니다. 여러가지 원인이 있을 수 있으나, 경남농업기술원에서는 고구마 피복재배 시 양분의 용탈이 거의 발생하지 않아, 질소 과잉으로 인해 과번무가 발생한 것이 문제로 보고, 이를 개선할 방법을 간구하였습니다. 2. 고구마 피복재배 방법 고구마의 피복재배는 무피복재배와 다른 방법으로 시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한 경남농업기술원은 2018년부터 2021년 동안 진율미를 대상으로, 시비량에 변화를 주어, 수량성을 확인하였습니.. 더보기
경기북부, 나물콩으로 풍산, 해원, 원광 심어보세요! 1. 배경 오늘 여러분께 소개할 농업정보는 "경기북부지역 친환경재배 적합 나물콩 품종 추천 및 재배 유의점"입니다. 요 근래, 유기농업과 무농약농업 등 친환경재배에 대한 농업인과 정부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다양한 작물들이 친환경으로 재배되고 있습니다. 그래서 경기도농업기술원에서는 친환경 농산물로 나물콩을 눈여겨보고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어떤 나물콩이 경기북부지역에 적합한지 살펴보도록 합시다! 2. 경기북부지역에 적합한 나물콩 품종 경기북부지역에 적합한 나물콩의 품종을 알아보기 위해, 경기도 농업기술원에서는 재식거리를 70x10cm로 하여, 친환경 유기재배와 비닐피복재배로 다양한 나물콩 품종을 재배하였습니다. 결과는 10a당 수량이 가장 큰 품종은 원광, 풍원, 풍산, 해원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러나.. 더보기
강원지역, 해들벼로 고품질 쌀 생산합시다! 1. 배경 오늘 소개할 농업정보는 "품질과 내재해성이 우수한 조생종 해들벼"입니다. 해들벼는 농촌진흥청과 이천시가 함께 개발한 품종으로, 밥맛이 우수하고 외관, 품질, 내병충성이 좋은 품종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이런 해들벼를 강원도 농업기술원에서는 강원지역에 벼품종으로 추천을 하고 있는데, 어떤 장점이 있는지 한 번 알아보도록 합시다! 여기 2. 해들벼를 추천하는 이유 강원도농업기술원에서는 해들벼 재배지를 알아보기 위해, 평야지(춘천, 철원), 중간산지(홍천, 정선), 해안지(강릉, 고성)으로 나눠 서로 비교해보았습니다. 재배방법은 표준재배법을 활용하였고, 질소, 인, 칼리의 비율을 춘천은 9 : 4.5 : 5.7kg/10a로 하였고, 철원, 홍천, 강릉, 고성은 10 : 6.4 : 7.8kg/10a로.. 더보기
참드림, 적정 시비량으로 10a당 10만원 아끼는 방법 1. 배경 오늘 여러분께 소개할 농업정보는 "참드림 고품질 생산을 위한 1회 시비형 전용비료 추천 시용량"입니다. 경기도에서 개발한 "참드림"은 최근 한국을 넘어, 중국, 동남아, 미국 등 전세계로 수출이 되고 있으며, 부드럽고 찰진 밥맛을 갖고 있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에 경기도 농업기술원에서는 참드림의 적정 시비량으로 고품질 쌀을 생산하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2. 참드림의 적정 시비량 경기도농업기술원에서는 참드림의 적정 시비량을 살펴보고자, 시비하지 않을 때, 표준시비 하였을 때, 개발비료를 시비하였을 때로 나눠 서로 비교해보았습니다. 결과적으로, 먼저, 아무것도 시비 하지 않았을 때, 현미수량은 10a당 509kg으로 나타났고, 표준시비 N 9kg의 경우는 624kg을 기록하였습니.. 더보기
전북지역, 조생신농과 백일흑찰로 이모작 해봅시다! 1. 배경 오늘 여러분께 소개할 농업신기술은 "전북 평야 이모작지 '조생신농', '백일흑찰' 이앙 적기 및 한계기"입니다. 최근 쌀에 대한 연구가 급증하면서, 생육시기를 조절하여 생육기간이 짧은 '조생신농'과 '백일흑찰'이라는 품종을 개발하였습니다. 이를 활용하면 벼 + 다른 작물로 작부체계를 만들어, 이모작을 통해 수익을 높일 수 있으니 조생신농과 백일흑찰에 대해서 한 번 알아봅시다! 2. 전북평야지 이모작 우선, 본 보고서는 전북지역에 해당되는 만큼 다른 지역의 농가들은 이점을 유의해주시기 바랍니다. 전북농업기술원에서는 조생신농과 백일흑찰의 이앙적기와 이앙한계기를 알아보기 위해서, 이앙시기를 달리하여 비교하였습니다. 먼저, 조생신농, 백일흑찰, 조생흑찰의 최적 적산온도는 880 ~ 920℃이며, 안전.. 더보기
태양광 아래, 쌀&맥주 보리를 심어 봅시다! 1. 배경 오늘 여러분께 소개할 농업신기술은 "영농형태양광 하부경지 쌀보리 파종량별 생산성"입니다. 최근, 영농형 태양광을 설치하여, 소득을 올리는 농업인들이 많이 있습니다. 그러나, 영농형 태양광을 설치만 하시고, 그 땅에 작물을 심지 않아, 추가적인 소득을 얻지 못하는 농업는 농업인이 있어 오늘은 영농형 태양광 아래 쌀보리와 맥주보리의 파종량을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2. 쌀&맥주 보리의 태양광 밑 적정 파종량 전남농업기술원에서는 태양광 하부경지에 심을 작물 중 보리를 택하여, 쌀보리와 맥주보리로 나누고 차광율에 따라 파종량도 달리하였습니다. 1) 쌀보리(흰찰쌀보리) 쌀보리의 경우, 차광율 32%, 25% 그리고 노지에서의 수확량을 비교해보았습니다. 결과적으로, 쌀보리는 25% 차광율 일때, 10a당 .. 더보기
영농형 태양광 밑에 밀을 심어, 추가수익 노려봅시다! 1. 배경 오늘 여러분께 소개할 농업신기술은 "영농형태양광 하부경지 밀 파종량별 생산성"입니다. 요즘 영농형태양광이 시들시들하지만, 태양광을 영농부지에 설치한 농가들도 많습니다. 그러나 그 영농형태양광 아래 어떤 작물을 심으면 좋을지 고민하는 농업인들을 위해, 오늘은 밀의 파종을 추천드립니다! 2. 영농형태양광 밑에 밀 전라남도농업기술원에서는 영농형태양광 밑에 얼마 만큼의 밀을 파종하는 것이 적당한지 살펴보기 위해, 실험을 진행하였습니다. 우선, 태양광 밑에 밀을 재배하는 조건이기 때문에 차광율에 따라서, 밀의 생육이 바뀌는 것을 생각하여, 차광율이 32%일때, 25%일때, 0%일때로 비교하였고, 파종량을 얼마나 가져가는 것이 적당한지도 함께 비교하였습니다. 결과적으로, 차광율이 25.6% 일때 파종량을.. 더보기
십리향 발아율 높이고, 매트형성 잘 되는 비법 공개! 1. 배경 오늘 여러분께 소개할 농업신기술은 "십리향 기계이앙을 위한 맞춤형 육묘방법"입니다. 십리향은 '십리 밖에서도 향기가 난다'는 이름으로, 전라북도를 대표하는 벼의 신품종 중의 하나입니다. 최근, 십리향을 맛보려는 소비자들이 늘어나고 있고, 여러 매체들을 통해 입증되어 입소문을 타고 있어, 자연스럽게 십리향의 재배면적도 늘어나고 있는 추세입니다. 그러나, 십리향에는 문제점이 있는데 발아가 다른 품종에 비해 느리고, 육묘를 하면 매트 형성이 더뎌서 재배하는데 고충이 있습니다. 따라서, 오늘은 이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안을 여러분께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2. 십리향 발아율 높이는 방법 전라북도농업기술원에서는 십리향의 발아율을 높이기 위해 온탕소독이라는 방법을 가져왔습니다. 온탕소독 방법은 60도의 물 ..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