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농업신기술

고구마 피복재배시, 10a당 3,305kg 수확하는 방법!

고구마 피복재배시, 10a당 3,305kg 수확하는 방법!

 

1. 배경

 

오늘 여러분께 소개할 농업정보는 "고구마 피복재배를 위한 시비량 개선"입니다.

경상남도농업기술원에 따르면, 고구마의 재배면적은 점차 늘어나는 추세이라고 합니다.

그러나, 늘어나는 재배면적에 비해서 면적당 수량이 적어, 이를 해결할 방법을 연구하고자 하였고, 원인을 살펴보게 되었습니다.

여러가지 원인이 있을 수 있으나, 경남농업기술원에서는 고구마 피복재배 시 양분의 용탈이 거의 발생하지 않아, 질소 과잉으로 인해 과번무가 발생한 것이 문제로 보고, 이를 개선할 방법을 간구하였습니다.

 

그림1. 고구마 사진

 

 

2. 고구마 피복재배 방법

 

고구마의 피복재배는 무피복재배와 다른 방법으로 시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한 경남농업기술원은 2018년부터 2021년 동안 진율미를 대상으로, 시비량에 변화를 주어, 수량성을 확인하였습니다.

재배방법보통기재배로, 파종일은 3월 1일이며, 정식일은 5월 15일로 잡았고, 정식거리는 75x20cm이며, 수확기는 9월 14일로 하였습니다.

그 결과, 표준시비 대비 75%를 시비하였을 때, 상품수량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렇다면, 질소와 칼리의 비율을 어떻게 가져가면 더 현명할지 살펴봅시다!

 

시비수준 주만장
(cm)
마디수
(개/주)
경엽중
(kg/10a)
주당 상품수
(개/주)
상품중
(g/개)
상품수량
(kg/10a)
0% 207 63 4,469 2.9 123 2,388
표준시비 25% 192 58 4,927 4.1 99 2,634
표준시비 50% 191 61 5,011 3.0 157 3,160
표준시비 75% 227 55 5,225 4.0 125 3,305
표준시비 100% 242 66 5,822 3.3 125 3,102
출처, 문진영, 2022, 고구마 피복재배를 위한 시비량 개선, 경남농업기술원.

 

 

경남농업기술원에서는 질소와 칼리의 비율에 따라, 상품수량도 확인해보았습니다.

그 결과, 질소와 칼리의 비율이 1 : 3일때, 상품수량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최대로 따져보면, 1 : 3.5일때가 가장 높았고, 그 이상 칼리의 비율이 높아지면 오히려 상품수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질소, 칼리비율
(N : K)
주만장
(cm)
마디수
(개/주)
경엽중
(kg/10a)
주당 상품수
(개/주)
상품중
(g/개)
상품수량
(kg/10a)
1 : 1 195 66 3,491 1.9 147 1,839
1 : 2 194 66 3,547 2.2 157 2,314
1 : 3 199 65 3,424 2.9 148 2,854
1 : 4 197 67 3,184 2.9 139 2,638
1 : 5 201 65 2,996 2.7 138 2,511
출처, 문진영, 2022, 고구마 피복재배를 위한 시비량 개선, 경남농업기술원

 

그림2. 고구마 사진

3. 결론

 

기존의 표준시비는 질소, 인산, 칼리의 비율을 5.5 - 6.3 - 15.3으로 가져갔다면, 이를 바꿔, 4.4 - 6.3 - 13.2로 가져가신다면, 피복재배시 질소과잉을 피하여 과번무 발생을 줄일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이렇게 하신다면 질소 및 칼리의 비료비가 감소하고, 상품수량이 늘어나기 때문에 10a당 187,900원의 추가수익이 발생할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그림3. 고구마 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