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어/국제

대한민국 국군 징병 추이와 전세계 군인수는?

대표 사진

 

1. 의경 재도입?!

 

최근 윤희근 경찰청장의 한마디가 뜨겁다.

잇따른 흉악범죄로 경찰 현장에서 치안유지 인력을 늘리고 있는데, 현장에서는 인력난으로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어, 의경의 부활을 이야기했다.

또한 예상인원으로 7,500 ~ 8000명 정도로 채용할 생각이고, 국방부와 합의해나갈 것으로 밝혔다.

 

그림1. 군인 사진

 

최근 군대에서도 심상치 않다.

의무복무기간이 1년 6개월로 단축되고, 또한 젊은 청년층이 점차 줄어들고 있어 우리나라 국군의 수도 점차 줄어들고 있다.

그렇다면 우리나라 현재 국군의 수는 어떤지 살펴보자.

 

 

2. 대한민국 국군 수

 

먼저, 대한민국의 국군은 이미 50만명이 깨졌고, 2022년 12월 기준으로 약 48만명이 복무하고 있다고 한다.

또한 예비군은 2022년 기준 2,730,000명정도에 이르며 전시 최대 가용인원은 360만명 정도이다.

 

그림2. 군인 사진

 

우리나라 국군의 수를 알아보기 위해 국방부의 최근 10년간 군인과 군무원 정원에 대한 데이터가 공개되어있어, 이를 참고하였다.

6년치 데이터를 살펴보면, 2016년부터 2021년까지 전체 군인 수는 줄어들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 중에서 가장 많이 감소세를 보인 곳은 육군으로 2016년 49만명에서 2021년 39.6만명으로 약 10만명이 빠져나갔다.

그와 다르게 나머지 해군, 해병대, 공군은 현상을 유지하고 있다.

 

<대한민국 국군 수 연도별 추이>

(단위 : 만 명)
구분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육군 49 48.3 46.4 44.4 41.9 39.6
해군 4.1 4.2 4.2 4.1 4.1 4.1
해병대 2.9 2.8 2.8 2.8 2.9 2.8
공군 6.5 6.5 6.6 6.5 6.6 6.5
합계 62.5 61.8 60 57.8 55.5 53

 

이대로 가다가는 대한민국 국군에도 위험신호가 오지 않을까 걱정이 되는 수준이다.

그렇다면 다른 나라들은 군대를 얼마나 갖고 있을까?

 

 

3. 전 세계 군인 수

 

전 세계의 군인 수를 알아보기 위해 나무위키를 참고하였다.

본 데이터에서 현역이 가장 많은 나라는 중국이었다.

중국군은 육군, 해군, 공군, 로켓군, 전략지원부대, 인민무장경찰부대로 나뉘어져 있으며, 현역은 2,285,000명이다.

그 다음으로는 인도이며, 인도는 1,365,000명의 현역군인을 거느리고 있다.

인도 다음으로는 미국, 북한, 러시아가 뒤를 이었다.

대한민국도 9위에 자리잡았다.

 

그림3. 군인 사진

 

그러나 현역, 예비역, 준군사조직을 모두 합하면 북한이 9,495,000명으로 압도적인 1위이며, 2위가 우리나라로 나타난다.

아무래도 북한과 대등한 군사조직을 가지고 있어야 북한의 위협으로부터 나라를 수호할 수 있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된다.

 

<전 세계 군인 수>

구분 국가 현역 (명) 예비역 (명) 준군사조직 (명) 총원 (명)
1위 중국 2,285,000 800,000 3,969,000 7,054,000
2위 인도 1,365,000 2,142,821 1,300,586 4,768,407
3위 미국 1,279,000 850,880 11,035 2,291,910
4위 북한 1,016,000 8,200,000 189,000 9,495,000
5위 러시아 786,000 2,035,000 449,000 3,250,000
6위 터키 664,049 378,700 45,181 1,087,930
7위 파키스탄 617,000 513,000 304,000 1,434,000
8위 이란 523,000 350,000 1,510,000 2,383,000
9위 대한민국 500,000 2,730,000 3,990,000 7,220,000
10위 이집트 468,500 479,000 397,000 1,344,500

 

전 세계에서 인구도 얼마없는 북한과 대한민국이 군인 수는 압도적으로 많다는 것이 참,, 분단의 현실을 느끼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