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어/국제

대한민국 수산물 방사능 현황과 전세계 심각한 원전사고

대표사진

 

1. 일본 방사능 오염수 방출

 

일본이 8월 24일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오염수를 해양에 방류하였다.

도쿄전력은 일본 정부의 방류결정에 따라 오후 1시를 시작으로 오염수를 방류하기 시작했다.

 

그림1. 원전 사진

 

이번에 방류하는 오염수는 다핵종제거설비(ALPS)를 거쳐 후쿠시마 제1원전 부지 내에 있는 저장 탱크에 보관된 오염수를 바닷물과 희석해 해저터널을 통해서 원전 앞바다에 방출하였다.

요즘 가장 핫한 이슈 중에 하나인 방사능 오염수 방출, 어떻게 될지 과학적으로는 입증되었지만 오늘 우리나라 앞바다의 방사능기준은 어떠한지 살펴보도록 하자!

 

 

2. 2023년 생산단계 수산물 방사능 검사 현황

 

대한민국 해양수산부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에서는 수산물 방사능을 검사하여 매일 보고하고 있다.

이에 오늘은 이 데이터를 활용해보기로 했다.

https://www.nfqs.go.kr/hpmg/data/actionRadioInvestStatusForm.do?menuId=M0001144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 홈페이지

www.nfqs.go.kr

 

먼저,  우리나라가 세운 방사능기준에 대해서 살펴보자.

아래 표를 보면, 대한민국의 기준이 미국, EU, 국제기구보다 엄격하게 관리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100Bq/kg의 세슘이 첨가된 어패류를 1년간 매일 먹을 경우, 흉부 엑스레이 1회 촬영한 것보다 약 1/2수준이라고 하니, 엄격하게 기준임을 알 수 있다.

 

단위 : Bq/kg
구분 국제기구
(Codex)
미국 EU 일본 대한민국
요오드 100 170 2,000 - 100
세슘 1,000 1,200 1,250 100 100
출처, 대한민국 해양수산부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 2023.

 

그림2. 원전 사진

 

그렇다면 이렇게 엄격하게 관리하고 있는 기준이 잘 지켜지고 있는지, 그리고 우리나라 해산물을 섭취해도 안전한지 살펴보자.

대한민국에서는 남동, 남서, 남중해역 등의 세슘 18곳, 삼중수소 15곳의 농도를 측정한다고 한다.

우선 대한민국의 8월 23일 기준으로 전체 31곳에서 모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023년 8월 23일까지 6,303건 가운데 6,303건 모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아직까지(8월 25일 기준)는 안전단계이니 섭취해도 좋다.

 

 

 

3. 전세계 원전사고

 

해양수산물 안전문제와 더불어, 원전사고에 대한 관심도 높아 전 세계에서 발생한 원전사고를 짧게 다뤄보려고 한다.

먼저, IAEA에서 원자력사고가 발생하면 얼마나 큰 규모인지 설명하기 위해서 INES 레벨을 만들었다.

1단계보다 2단계가 약 10배 정도 심각한 사고를 만든다 따라서 3단계는 2단계의 10배이다.

이렇게 생각하면 1단계부터 7단계까지의 INES레벨을 이해하기 편할 것이다.

7단계의 경우, 대형사고로 간주한다.

6단계는 심각한 사고, 5단계는 더 큰 결과를 가져오는 사고, 4단계는 지역적 결과를 초래하는 사고로 규정하고 있다.

 

그림3. 원전 사진

 

7단계인 사고가 지구상 2번 있었는데, 그게 누구나 다 아는 체르노빌과 후쿠시마다.

체르노빌 사고로 4,000 ~ 27,000명이 사망했다고 보고 있으며, 후쿠시마 원전 재해의 피해는 2,180억엔(약 2조원)에 달했다.

체르노빌과 후쿠시마 다음으로는 소련의 핵연료 공장인 미야크에서 발생한 방사선 오염으로 대략 200명의 사망자가 암으로 죽었다.

 

<원전사고 순위>

구분 날짜 사고위치 INES 레벨
1위 1986.04.26 체르노빌, 소련 7
2위 2011.03.11 후쿠시마, 일본 7
3위 1957.09.29 마야크, 키슈팀, 소련 6
4위 1957.10.10 셀라필드, 컴벌랜드, 영국 5
5위 1979.03.28 펜실베니아주, 미국 5
6위 1961.01.03 아이다호, 미국 4
7위 1966.10.05 미시간주, 미국 4
8위 1969.01.21 보, 스위스 4
9위 1976.01.05 야슬롭스케 보후니체, 체코슬로바키아 4
10위 1999.09.30 이바라키현, 일본 4

 

앞으로 또 어떤 원전사고가 발생할지 모르지만, 원전사고 만큼은 없어졌음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