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마이스 태풍의 위력과 역대급 태풍 피해 연도는??
#1 오마이스 태풍의 위력 행정안전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12호 태풍인 오마이스가 23일 오후 한반도에 상륙할 것이라는 기상 예측을 내놨다. 태풍은 전라북도 무주와 임실 그리고 경상북도 경주, 포항, 청도를 밤에 강타하며, 호우주의보가 발효될 것이라고 이야기했다. 이번 태풍은 최대풍속이 24m/s, 이동속도가 18km/h 중심기압이 990hpa로 23일 9시에 서귀포를 지나 23일 21시 여수 남서쪽으로 진입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태풍의 위력은 전라남도의 흑산도, 홍도, 서해 5도는 강풍 예비, 동해남부먼, 서해남부먼, 서해중부먼, 남해동부먼은 풍랑예비가 발효되었으니 주의가 필요하다. 그렇다면, 태풍을 예방하기 위해 우리들에게 필요한 자세는 무엇인지 살펴보자! #2 태풍 피해 예방을 위한 ..
더보기
코로나 시국, 가을철 가장 많은 관광객이 방문한 관광명소는?
#1 코로나 근황 최근, 코로나 1차 예방접종이 50%에 도달해 가고 있다. 코로나 19 예방접종 사이트에 따르면, 8.20., 24시 기준 1회차 누적 접종자가 25,501,990명으로 대한민국 인구(51,671,569명)의 49.35%가 1차 예방접종을 마쳤다. 2차 예방접종까지 마친 인구는 11,107,393명으로 대한민국 전체 인구의 21.5%가 이미 예방접종을 마친 상태이다. 가을철까지 되면, 대한민국 인구의 상당수가 1차 접종을 마치고, 2차접종도 완료된 상태가 될 것이고, 코로나 19로 인한 피해가 줄어들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그렇기 때문에 모두가 고대하는 가을철, 관광지를 살펴보지 않을 수 없다. 그렇다면 2020년에 관광객들은 가을철에 어디를 가장 많이 놀러갔을지 살펴보도록 하자! #2 ..
더보기
여름철 조심 해야 할 위생해충과 지역별, 연도별 쯔쯔가무시 발생율
#1 여름철 위생해충은?? 헬스조선 뉴스에 따르면, 여름철 조심해야 할 위생해충으로 모기, 털진드기, 독나방, 쥐벼룩을 소개했다. 각각의 위생해충들이 사람에게 입히는 피해는 여러 가지이나, 대표적으로 모기는 감염균을 보유하고 있다가, 사람을 물면 뎅기열, 웨스트나일열, 말라리아, 뇌염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털진드기는 피부에 달라붙어, 침을 꽂아 흡혈하여 쯔쯔가무시병을 옮긴다. 독나방은 털에 독을 가지고 있어, 사람의 피부에 닿으면 독성 물질이 모낭으로 들어가 염증을 일으키며, 피부염, 안구염 등의 원인이 된다. 마지막으로 쥐벼룩은 쥐에 기생하며, 리케차아균을 보유하다가, 물면 발열, 발진 등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이들에 대한 예방책이 필요하다. #2 위생해충으로부터 예방책 모기의 경우, 야..
더보기
코로나 시국 여름철, 다들 어디로 놀러갔을까?
#1 여름휴가 근황 무더운 여름철, 휴가철을 맞아 피서지를 찾아보고, 여름철 휴가를 즐기려는 이들이 부쩍 늘어나고 있다. 과거에는 해외로 많이들 왕래했지만, 올해도 역시 코로나 때문에 해외로의 이동이 제한받아, 국내여행을 생각하는 이들이 많다. 그러나, 국내 여행도 녹녹지 많은 않다. 최근, 정부에서는 현재 실시하고 있던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를 8월 22일까지 추가 연장하면서, 다중이용시설 이용에 제한을 받게 되었다. 또한 사적모임 인원도 4인까지 가능해서, 모임도 축소되었다. 그뿐 아니라, 부산은 사회적 거리두기를 4단계로 격상하면서, 해수욕장 이용에도 어려움이 있는 등 국내여행으로의 발걸음도 무겁기만 하다. 그러나, 여름철 피서지를 아직도 못 선택한 당신께 2020년 내국인이 코로나 시국에 방문한 여..
더보기
대한민국 전력 생산량과 나라별 전력 소비량은?
#1 대한민국 전력 생산량 대한민국의 전력 생산량을 살펴보기 위해, 한국전력공사의 한국전력통계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한국전력통계에서는 매년마다 한국전력통계를 발간하여, 누구나 확인할 수 있도록 정보를 공개한다. 단위는 GWh를 사용하였다. 2020년 대한민국에서 발전되는 전력은 대부분 기력에서 발생되고 있다. 기력 다음으로는 원자력, 복합, 집단, 신재생 에너지 순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는 아직도 화석에너지가 주로 이용되고 있으며, 그다음은 원자력 에너지가 사용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수력, 물의 낙하 에너지를 활용함. 기력, 화력에너지를 활용함. 복합, 전력·수소·열·천연가스 등의 복합에너지를 활용함. 원자력, 핵분열 에너지를 활용함. 신재생, 태양광, 풍력 등의 에너지를 활용함. 집단, LNG, 유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