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어/국제

현, 희토류 수출량과 보유량은?

<대표 사진>
<대표 사진>

#1 희토류는 무엇인가?

 

희토류는 화학원소 중 스칸듐, 이트륨, 란타넘 등 17개의 원소들을 지칭힌다.

그 이유는 이들의 화학적 성질이 비슷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왜 다들 희토류를 원하는 것일까?

 

 

#2 희토류를 주목하는 이유

 

희토류는 화학적, 전기적, 자성적, 발광적 특징을 갖고 있으며, 방사선 차폐 효과 또한 갖고 있다.

이러한 특징 덕분에 반도체, 디스플레이, 전기모터,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 첨단산업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렇다면, 왜 희토류로 인해서 국제적인 논쟁이 일어난 것일까?

&lt;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gt;&lt;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gt;
<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

 

#3 희토류 전쟁의 이유

 

전략국제문제연구소의 중국, 글로벌 희토류 공급 시장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은 17개 희로튜 광물을 독보적으로 보유하고 있어, 경쟁우위를 갖는다고 설명한다. 

중국이 전체 시장의 43%를 수출하고 있으며, 그 뒤를 기타, 미국, 말레이시아, 호주, 일본 순으로 나타난으며,  중국이 대부분의 희토류를 수출하는 수출 강국으로 희토류 시장에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음을 시시했다.

 

 

1. 2020년 희토류 수출량은?

 

그렇다면, 2020년 희토류 수출량은 어떻게 될까?

2020년 희토류 수출량을 살펴보기 위해, Statosta.com을 활용하였다.

본 사이트는 2020년 전 세계의 희토류 수출량의 자료를 알려준다.

 

<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

 

본 사이트를 통해서 살펴본, 희토류 수출 1위 국가는 중국으로 나타났다.

중국은 전체 희토류 수출량 중 57.57%를 수출하였다.

그 다음으로는 미국, 미얀마, 오스트레일리아 순으로 나타났다.

 

순위 국가이름 수출량(%)
1위 중국 57.57
2위 미국 15.63
3위 미얀마 12.34
4위 오스트레일리아 6.99
5위 마다가스카르 3.29
6위 인도 1.23
7위 러시아 1.11
8위 태국 0.82
9위 브라질 0.41
10위 베트남 0.41

 

그렇다면, 현재 희토류 보유량은 어느 정도 규모일지 한 번 살펴보도록 하자!

 

2. 현재 희토류 보유량

 

국가별 상위 희토류 매장량을 살펴보기 위해, investingnews.com 사이트를 활용하였다.

본 사이트는 블로그 형식으로 개제되어, 현 희토류 보유량을 대략적으로 알려준다.

본 사이트를 통해, 살펴본 희토류 보유 강국은 중국으로 나타났다.

 

<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

 

중국은 현재 희토류 보유강국으로 희토류 보유량은 4,400만MT으로 이는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희토류를 보유하였다.

그 다음으로는 베트남 2,200만, 브라질 2,100만 순으로 나타났다.

 

순위 국가이름 희토류 보유량(MT)
1위 중국 4,400만
2위 베트남 2,200만
3위 브라질 2,100만
4위 러시아 1,200만
5위 인도 690만
6위 호주 410만
7위 미국 150만
8위 그린란드 150만

 

 

때문에, 미국은 호주, 일본 등의 국가들은 중국 희토류 공급 의존을 줄이는 협력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으나, 여전히 중국의 희토류를 수입할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

 

연합뉴스에 따르면, 코로자 전 수준보다 미국과 유럽 국가들의 희토류 수입량이 크게 늘었으나, 기술발전을 꾀하고 있다고 전했다.

따라서 국제적으로 희토류 수입량이 크게 늘고는 있으나,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기술력 발전이 전 세계적으로 일어나고 있어, 향후 희토류로 인한 국제적인 문제는 사그러들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세줄요약

1. 희토류 첨단산업에 필수요소

2. 대부분 중국이 점거

3. 기술력으로 극복할 수 있을지 기대

 

끄읕

글이 유익했다면, 구독! 공감! 한 번씩 눌러주세요~

더 좋은 정보로 찾아오겠습니다~